제목   |  Cattle farmers outraged at prices 작성일   |  2012-01-06 조회수   |  3090

Cattle farmers outraged at prices

Blaming the gov’t, they planned to release livestock outside Blue House
'송아지값=개값 50만원' 뿔난 농민들  

Jan 06,2012
 
  Defying policemen’s attempt to block them, farmers try to unload a cow from a truck to participate in a livestock farmers’ rally in Ulju County, Ulsan, yesterday to protest plunging cattle prices. After the rally, the farmers tried to drive to the Blue House in Seoul. But they were blocked by the police at the entrances of highways. [YONHAP]

With the prices of domestic cattle plummeting, livestock farmers tried to stampede Seoul yesterday to deposit their animals at the Blue House, laying the blame for their financial plight on President Lee Myung-bak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he signed with the United States last year.

Most of the angry farmers and all of their animals were blocked from entering the capital.

“Livestock farm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will hand in their cattle to the Blue House today,” Chung Ho-young, the chairman of the South Gyeongsang center of the Hanwoo (Korean beef) Association, told Korean media during a press conference near a ramp of the Namhae Expressway in Haman, South Gyeongsang, yesterday.

About 300 livestock farmers had their cattle loaded on trucks ready to roll into Seoul.

 
   
“The government should know how hard breeding cattle is,” Chung thundered. He was surrounded by banners and placards on the trucks criticizing the government: “Breed cattle like us, and you will find what hopeless work it is in this country!” and “Free trade agreement for whom? We want swift solutions for this terrible price slump!”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about 900 livestock farmers attempted to come to Seoul from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Busan, Ulsan, Gwangju, Daejeon and northern Gyeonggi with about 1,000 cattle. The rolling rally, the police said, was organized by the members of the Hanwoo Association and individual livestock farmers to protest over the government’s failure to stabilize the live cattle price and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which the farmers consider a key reason for the price slump. The farmers wanted to surrender their animals to the Blue House as a symbol of giving up the business.

About 150 chapters of the Hanwoo Association announced Wednesday on the organization’s Web site that they would stage a large rally in Seoul, particularly nearby the Blue House as well the National Assembly in Yeouido, western Seoul.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ratification has boosted the farmers’ anxiety to its peak level,” Cho Byung-im, an official at the livestock management division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old the Korea JoongAng Daily.

The Agriculture Ministry said there were a total of 3.3 million live cattle as of December 2011, an increase from 2.9 million in 2009 and 1.4 million in 2001.

The right number of cattle for the market at this time, the ministry said, would be around 2.6 million.

Cho said the jump in the number of cattle was a result of a surge in demand for local beef after 2008, when consumers were frightened by rumors of mad cow disease in U.S. beef. That demand deflated after fears subsided and cheap U.S. beef was imported, leading to an oversupply of local livestock.

The price for a live hanwoo cow has dropped more than 30 percent to 4.4 million won ($3,800) per 600 kilograms from 6.35 million won two years ago. The price for a live calf, the ministry said, has dropped to 1.2 million won from 2.8 million won.

The rally in Seoul was defused yesterday after police blocked 10 main expressways leading to Seoul, including the Gonjiam, Anseong and Cheonan interchanges.

At the Haman Interchange, 500 police from Haman County and neighboring regions checked all vehicles and turned away any carrying cattle. Dozens of aggressive farmers tried to get through but were repulsed by the police.

Dozens of Hanwoo Association members who failed to bring their cattle to Seoul gathered later in the afternoon at a local community center close to the Blue House in Jongno District, central Seoul, and held a press conference.

“We will continue to rally until the government provides ultimate solutions,” said Nam Ho-kyung, chairman of the Hanwoo Association. “The FTA with the U.S. will exempt the 40 percent tariff on U.S. beef in the next 15 years, which means the price for hanwoo meat will drop more.”

As a temporary expedient to help the farmers, the Agriculture Ministry announced Wednesday it will replace imported beef supplied to the Korean military with hanwoo.


By Kwon Sang-soo [sakwon80@joongang.co.kr]

 
 


쇠고기값 떨어진 것 같습니까

[뉴스분석] 소값 폭락 진실



축산 농민의 시위가 5일 전국에서 벌어졌다. 고속도로 나들목에선 소 떼를 앞세우고 청와대로 가겠다는 농민과 경찰이 충돌했다. 농민은 사료 값은 올랐는데 소값은 떨어졌다며 정부 대책을 요구했다. ‘송아지값이 개값과 같은 50만원’이라는 피켓도 등장했다.

 속이 탈 만도 하다. 4~5개월 된 송아지 평균 가격(92만원)은 6개월 새 거의 절반으로 하락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수입 쇠고기 가격이 더 내릴 것이란 우려도 농민의 불안을 부추겼다.


 소값 급락의 원인은 공급 과잉 때문이다. 축산 농가에도 책임이 있다는 얘기다. 2008년 광우병 사태 이후 한우 가격은 계속 올랐다. 비싸서 못 먹을 정도였다. 농민은 소를 늘렸다. 돈이 됐기 때문이다. 소 사육 두수는 지난해 중반 3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적정 사육 두수는 최대로 잡아도 270만 마리다. 공급 과잉에 구제역 사태가 겹치면서 지난해 소값은 마리당 100만원 이상 내렸다. 키울수록 손해가 뻔한 상황이 되자 송아지값이 먼저 폭락한 것이다.

 농민은 아우성이지만, 소비자는 시큰둥하다. 쇠고기값 하락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내리긴 내렸다. 농협에 따르면 1등급 갈비는 지난 1년간 37%, 1등급 불고기는 10% 내렸다. 그런데 최근 6개월간은 큰 변화가 없다. 구제역 여파가 잦아들면서 소비도 늘었기 때문이다. 쇠고기용으로 쓰이는 어른 소(600㎏짜리 암소)의 4일 전국 가축시장 평균 가격은 369만원이었다. 6개월 전에 비해 2% 내렸을 뿐이다. 그러니 소비자가 체감하는 쇠고기값이 내릴 리 없다. 게다가 쇠고기값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이른다. 기름값 상승 등으로 유통 비용은 늘었다. 1등급 등심은 6개월간 가격(500g)이 오히려 2000원 올랐다. 식당은 더하다. 임차료와 연료비, 다른 식재료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가격을 내리지 않고 있다. 식당에서 쇠고기를 먹고 내는 돈에서 고기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30%다.

이처럼 작물과 가축에 대한 쏠림 현상과 가격 급변은 한두 해 된 일이 아니다. 농업은 기후 등 통제가 어려운 부분이 많다. 그러나 소의 경우 수급 불균형 경고가 이미 나왔다. 이 과정에서 농협은 수급 전망에 어두운 고령·영세농의 길잡이 역할을 하지 못했다. 정부 책임도 크다. 가격이 내렸다고 손실을 보전해주다 보니 농업 경쟁력은 개선되지 않았다.

가격 통제는 효과도 없다. 정부 개입에도 불구하고 쇠고기 가격은 5~8년 주기로 값이 오르내리는 ‘비프 사이클(쇠고기 주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정부가 할 일은 따로 있다. 시장 경쟁력을 높이게 돕는 것이다. 소값 파동에도 최상급인 ‘1++’ 등급 소는 마리당 140만원의 이득을 남기고 있다. 손해를 보는 건 2등급, 3등급 소다.

 무엇보다 소비자의 인내가 한계에 다다랐다. 지난 3일 기획재정부 업무보고에 초대된 주부 박신희씨는 “정부가 농민과 대기업만 고려한다”고 말했다.

농림수산식품부에는 요즘 소비자의 항의 전화가 농민 전화보다 더 많이 걸려온다. 이제 농업도 시장으로 나와서 경쟁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어려움에 빠지는 농민은 복지 안전망을 통해서 도와야 한다.

농식품부가 섣부른 가격 관리를 접고, 산업 정책과 복지 정책을 헷갈리지 않게 펴야 하는 이유다.

 

인쇄하기